HRM전문가 (5) 썸네일형 리스트형 HRM 전문가 자격증 원서접수 후기 :: 내돈내산, 자기개발 인사/총무로의 경력을 쌓기 위해 자격증을 찾아보다 알게된 자격증. 한국공인노무사회에서 만든 자격증으로 공인노무사 만큼의 인정은 받지 못하지만, 그래도 인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해 취득하고자 한다. 나의 블로그를 보면 알겠지만, 시험 접수 전부터 서적을 구매하고 공부를 해오고 있는데, 과연 성적은 어떻게 나올지 나중에 함께 결과를 보기 바란다. HRM 전문가 자격증 원서접수 HRM 전문가와 사회보험 전문가 자격증은 한국공인노무사회 사이트에서 서적 구매 및 자격시험 원서접수가 가능하다. 원서접수의 경우 생각보다 희망자가 많다보니,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중간중간 사이트에서 일정 공지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한국공인노무사회 : https://edu.kcplaa.or.kr/ .. [HRM 전문가] 제 25회 기출문제 오답노트 (HRM 실무 파트) 시험을 준비하면서, 이론공부를 오답노트와 함께 진행하면 좋을 듯 해 블로그에 기록하며 공부하고자 한다. 나의 시험 길잡이가 되어줄 듯 해 남기는 글이니 참고하길 바란다. [HRM 실무 PART1] 2. 다음은 인적자원관리와 관련된 주요 컨퍼런스(Conference) 인 ATD에 관한 내용들이다. ATD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 정답 : 2번 ATD는 1948년 발족하였으며 다양성관리, HR 리더십, 총 보상, 글로벌 HR, HR과 기업성과, HR 성과측정 등 주요 영역별 이론이나 Best Practice 를 소개한다.* 틀린이유 : ATD는 1943년 발족했다. 5. 다음 보기는 직무급 산정을 위하여 사용하는 직무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하나이다. 아래 보기에서 의미하는.. [HRM 전문가] 3. 직무평가 내가 가장 많이 틀리고 있는 직무 분석과 직무 평가에 대한 이론 문제이다. 글을 읽을 땐 이해가 되지만 문제만 보면 기억이 나지 않는다. 참 아이러니 한지 않은가? 그래서 정리해보는 직무평가 이론 공부이다. 함께 공부해보자. 직무평가의 정의직무평가는 직무분석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다. 직무분류 결과 개별직무에 관한 제반 사실을 파악•분석하기파악 및 분석한 자료를 기초로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작성하기각 직무에 대해 직무 평가 방법에 따라 직무의 상대적 가치 평가하기평과 결과를 기초로 하여 임금을 결정직무 평가를 통해 조직이 모든 직무들의 상대적 중요성, 수행 시 필요한 업무기술/지식/능력을 알 수 있고, 직무 난의도에 따라 값어치가 매겨지게 된다. 이러한 직무평가의 최종 산출물은 회사에서 직무등급체계로.. [HRM 전문가] 2. 직무분석 및 직무평가 생각보다 기초이면서 머리에 암기가 되지 않은 직무분석. 인사업무를 담당한다면, 리더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직무를 파악하고 평가를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지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대표자는 점점 더 직원들을 세세하게 평가하길 희망하기때문에, 직무분석 및 직무 평가에 대한 지식을 인사담당자는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오늘의 공부 시작해보자. 직무분석이란? 다양한 직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직무별로 직무수행의 목적, 주요 활동 및 책임, 직무수행 요건을 명확히 규정하는 일련의 작업 직무분석의 목적 - 능력과 적성에 맞는 사람을 직무에 배치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조직의 목표를 이루어지게 하는 것-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를 작성하여 인사관리의 제 기능 분야의 활동을 보다 원활하고 호율적으로.. [HRM 전문가] 1.인적자원관리 인사팀에서 근무하는 새싹으로써, 조금더 내 업무에 이해하고 집중하기 위해 HRM 전문가 시험을 준비하려 한다. 후기를 찾아보니 대부분 짧은 기간안에 취득했다는 후기가 많았는데 나는 인사지식이 많은 편은 아니라서 적어도 3주는 잡고 공부해보려 한다. 그래도 이미 취득한 분들의 후기를 따라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려 하는데, 1회분 풀어보니 생각보다 이론적인 지식을 요하는 시험인듯해 HRM 전문가 책도 구매했으니 요약 정리 개념으로 정리해보려 한다. 혹시나 나와 같이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의 공부 인적자원관리 개념 요약 시작한다. 인적자원관리 발전 단계원시적 인사관리(Primitive Personnal management)인사관리 (Personnel management : PM)인적자원관.. 이전 1 다음